기독교, 한국에 살다
CONTENTS
1919 이전
최초의 근대 학교 배재·경신학당, 여학교 이화·정신학당 개교
002 전도인 대상 교리교육으로 신학교육 시작
협성신학교, 평양신학교, 경성신학교 개교
003 맹아학교에 이어 농아학교까지 설립
로제타 셔우드 홀의 평양 맹아 교육
004 교파별로 설립, 후에 연합으로 운영
기독교와 한국 고등교육의 시작
005 한국인 감동시켜 선교에도 큰 효과
근대의료의 도입과 기독교
006 가장 소외되고 버림받은 이들을 위하여
기독교의 구라(救癩)선교
007 국가보다 먼저 선교사들에 의해 양성
한국 간호교육의 시작
008 한글 보급, 문화 발전의 초석
한국 최초의 찬송가 찬미가와 찬양가
009 한국인, 복음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다 로스역 성경
010 중부 이남 지역 기독교 선교의 든든한 기초 이수정역 성경
011 오늘날 사용하는 성경의 모체 탄생
성서번역위원회의 한글성서
012 사라진 ‘단일한 민족교회’의 꿈 1905년 ‘대한예수교회’ 논의
013 한국 최초의 조직교회들 소래교회, 새문안교회, 정동제일교회
014 교파주의 넘어서 선교위해 협력 선교사들의 연합활동
015 사랑했던 땅, 한국에 묻히다
양화진 등 외국인 선교사 묘역 조성
016 선교부 배경따라 교파적 특성 교착화
선교지 분할협정(교계예양)
017 조선의 문호개방과 고종황제의 선교윤허, 선교사의 내한
한국 선교 시작의 삼단계
018 조선의 문명개화와 문화발전에까지 영향
죠션크리스트도인회보와 그리스도신문의 창간
019 전문적인 신학 잡지의 탄생
신학월보, 신학세계, 신학지남
020 ‘은둔의 나라’를 서양에 널리 알리다
The Korea Review와 Korea Mission Field 창간과 그 영향
021 한국인 지도력 형성의 출발점 한국인 최초 목사들
022 한국교회 자생의 기반을 다지다 장로회와 감리회의 1차 회의
023 구령운동과 복음화운동으로 계승 한국교회의 부흥운동
024 조선의 ‘주체적 기독교’를 꿈꾸다 한국교회 자치교회 운동
025 ‘선교하는 교회’라는 정체성 구현 한국교회 선교사 파송
026 ‘7계명 어기는 것’... 혁명적 발상 축첩의 시대는 가라!
027 자유와 해방의 경험, 복음전파로 연결 전도부인
028 복음 앞에서 평등한 존재로 자신의 길을 가다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여성들
029 기독교를 만나 ‘400년 깊은 잠’에서 깨어나다
한글의 발전과 기독교
030 역사와 문화, 종교에 대한 체계적 연구 진행
선교사들의 한국 이해
031 문서선교와 출판문화 발전에 큰 공헌
최초의 종교 출판사 삼문출판사 설립
032 한국인의 종교로 가기 위한 관문
반기독교 운동
033 새로운 사회문화 질서의 출발점
신분질서의 해소
034 종교 출판 넘어 개화와 문화발전에 공헌
조선성교서회(대한기독교서회) 설립
035 기독교 신앙과 근대사상 확산의 요람
YMCA와 YWCA의 설립
036 근대 스포츠를 통해 민족의식 함양에 기여
한국 YMCA와 근대 스포츠의 발전
037 역사를 통하여 새로운 한국을 발견하다
힐버트와 게일의 한국 역사 연구
038 창가에서 근대음악, 4부합창으로 초기 기독교음악
039 민중이 모이는 생활중심지를 찾아
초기 선교사들의 전도활동과 장시(場市)
040 초창기부터 사회적 약자 돕는 일 시작
구세군의 사회사업
041 한국의 정신과 생활, 문화 유지하는데 큰 도움
한국 근대건축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
042 선교사들의 우정 어린 고종 보호
춘생문 사건
043 기독교의 옷을 입은 애국 독립운동
헤이그 밀사 사건과 상동청년회(상동파)
044 자주적 시민국가의 이상에 기독교 신앙을 입히다
독립협회 운동과 선교사
045 자주적 민주국가 수립 꿈꾼 기독교인들의 수난
105인 사건과 신민회